SBS 드라마 <장옥정, 사랑에 살다>에 장옥정(장희빈)의 천적이 등장했다. 훗날 장옥정을 중전 자리에서 몰아내는 데 핵심 역할을 하게 될 최숙빈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조선 후기 정치평론서인 이문정의 <수문록>에 따르면, 궁녀 최씨(최숙빈)가 숙종의 아이를 임신했다는 첩보를 입수한 장옥정은 최씨에게 체벌을 가해 최씨와 태아를 위험에 빠뜨린 적이 있다. 이때는 인현왕후가 폐위되고 장옥정이 중전이 된 뒤였다.

   한때 인현왕후의 시녀였기 때문에 장옥정에 대한 감정이 좋을 리 없었던 최숙빈은 이 사건을 계기로 장옥정에게 한층 더 깊은 원한을 품게 됐다. 그 뒤 왕자를 낳고 후궁이 된 최씨는 인현왕후 복위운동에 앞장섰고, 장희빈의 비행을 숙종에게 고발함으로써 장옥정을 후궁으로 격하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최숙빈의 보복은 이것으로 끝나지 않았다. 장옥정이 폐위되고 인현왕후가 복위된 지 7년 뒤인 1701년에 최숙빈은 후궁 장옥정에게 최후의 일격을 가했다. 그 해에 인현왕후가 사망하자 최숙빈은 "왕후가 살아 있을 때 장희빈이 왕후의 죽음을 기원했다"고 숙종에게 고발했고 숙종은 장옥정에게 사약을 내렸다.
이렇게 장옥정을 죽음으로 몰아넣음으로써 최숙빈은 이 대결에서 최종적 승리를 거두었다. 장옥정이 죽은 직후에 궁에서 쫓겨나는 바람에 그 의미가 퇴색하기는 했지만, 최숙빈은 숙종시대 여인천하에서 최후의 1인이었다. 그가 바로, 훗날 영조 임금이 될 연잉군의 어머니였다.

   장옥정-최숙빈 대결이 어찌나 격렬했던지, 두 여인이 죽은 뒤에도 싸움은 끝나지 않았다. 그 아들들이 대결의 바통을 이어받았기 때문이다. 숙종이 죽은 뒤에 벌어진 경종 임금과 연잉군의 왕권 투쟁은, 또 다른 시각에서 보면, 두 여인의 대결을 재현하는 것이었다. 
아들들의 대(代)에서 재현된 대결은 장옥정의 승리로 끝나는 듯했다. 장옥정의 아들이 왕좌를 차지했기 때문에, 최숙빈의 아들에게는 더 이상 가망이 없어 보였다. 그러나 노론당은 건전한 다수파도, 건강한 보수파도 아니었다. 그들은 비상식적인 방법으로 대결의 승부를 바꿔놓았다. 경종을 압박해서 연잉군을 후계자로 만든 것이다. 임금의 아들도 아니고 배 다른 동생에 불과한 연잉군을 후계자로 만든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일이었다. 
그 뒤 경종은 연잉군이 보낸 게장을 먹고 디저트로 생감을 맛본 뒤 쓰러졌고, 그런 다음에 연잉군이 경종을 이어 왕좌를 차지했다. 1724년에 이런 일이 없었다면 영조, 정조, 순조, 헌종, 철종, 고종, 순종은 역사에 등장하지 못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들은 모두 최숙빈의 혈통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종의 사망과 연잉군의 등극을 계기로 장옥정과 최숙빈의 사후(死後) 대결도 최숙빈의 승리로 끝난 셈이 됐다. 장옥정은 아들 대에 가서도 최숙빈을 이기지 못한 것이다. 하지만, 이것으로 모든 게 끝나는 것은 아니다.

   16세기에 명나라의 이시진이 지은 약학 서적인 <본초강목>에서는 "게를 감과 함께 먹으면 복통이 나고 설사를 한다"고 했다. 조선과 중국 사이에서는 의학 지식의 교류가 활발했기 때문에, 16세기에 중국에서 나온 지식이 18세기에 조선에 전해지지 않았을 리 없다. 그러므로 조선의 왕인 경종이 게장과 생감을 함께 먹고 죽었다는 것은 누가 봐도 의심할 만한 일이었다.
그래서 연잉군(영조)은 왕이 된 뒤에도 지독한 정통성 시비에 시달렸다. 자신을 경종 사망사건의 배후로 바라보는 세상에 대해 영조는 어떻게든 자기의 무죄를 증명해야 했다. 그런 노력의 일환으로 나온 것 중 하나가, 갓 태어난 사도세자를 '장옥정 모자'와 연결해준 것이었다.
영조는 사도세자가 태어난 지 100일 만에 세자의 거처를 창경궁 저승전으로 바꾸었다. 이곳은 경종 임금의 부부가 지내던 곳이었다. 그리고 장옥정이 머물던 전각에서 사도세자를 위한 음식을 만들도록 했다. 또 경종 부부를 보좌하던 궁녀들을 죄다 불러들여 사도세자를 양육하도록 했다. 이런 조치들을 통해 영조는 자신이 경종의 죽음에 대해 한 점 부끄럼이 없다는 점을 입증하고자 했다. 그 대신, 영조는 대가를 치러야 했다. 세자가 경종 쪽 궁녀들에게 맡겨진 뒤로 영조와 세자는 정신적인 생이별을 겪었다. 이로 인해 영조와 세자의 관계는 어색한 부자관계가 됐고, 이것은 훗날 영조가 세자를 뒤주에 가둬 죽이는 데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사도세자의 불행은 장옥정-최숙빈 대결의 유산이라고 볼 수 있다. 두 여인의 대결이 아들 대에서도 끝나지 않고 손자 대에까지 영향을 주었던 것이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