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와 트로이 사이에 벌어진 10년간의 지루하고도 소모적인 전쟁을 하룻밤 사이에 끝낸 것은 오디세우스가 만든 목마 때문이었다.
동서양이 현존하는 전설의 제국, 터키를 여행하기 위해 2주정도의 일정을 잡았다. 이스탄불에서 내려 가장 가보고 싶었던 기괴한 암석 도시 카파도키아를 가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였다. 카파도키아에서 이틀을 보내고, 고대 로마시대부터 휴양지로 잘 알려진 파무칼레에서 3일을 보냈다. 원래 1박을 계획했지만 여행일정을 늘렸던 것도 이 파무칼레라는 도시 때문이었다. 이 때까지만 해도 가는 곳마다 터키의 매력에 흠뻑 빠져있었다. 이런 황홀함에 휩싸여 발길을 옮겼던 곳이 차낙칼레였다. 그러나 차낙칼레에 도착하면서 필자의 흥분된 터키 여행은 답보 상태를 맞았다. 

    무더운 여름, 땀 흘려가면서 도착했던 곳은 트로이 목마가 있는 곳이었다. 단순히 보면 나무로 만든 커다란 말 장난감처럼 보였다. 이것이 어떻게 유명한 유적지로 알려져있는지 의문스러울 정도로 허접했다. 이것이 전부가 아니겠지 라는 의심이 들어 이리저리 주변을 살펴봤다. 하지만 그것이 전부였다. 정말 실망스러웠다. 이후 후배들이 터키 여행에 대한 조언을 요청오면 차낙칼레는 가지 말라고 했다. 목마에 대한 강한 애착이 있는 사람이 아니라면 권하고 싶지 않은 곳이었다. 이 트로이 지역은 오랜 시간 동안 암흑 속에 있다가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에 나오는 이야기들이 신화가 아닌 실재했던 사건과 지명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1868년 세상에 드러나게 되었다. 신념으로 연구하던 독일의 고고학자 슐리만의 고집 덕분이었다.
난공불락의 요새 ‘트로이’를 점령하기 위해 전력을 기울이던 그리스군은 성문을 열지 못해 번번히 공격에 실패하다가 어느 날 밤 대형 목마만을 덩그러니 남겨두고 모두 사라져 버렸다. 이에 트로이군은 남겨진 대형 목마를 전승기념품으로 생각하고 성안에 끌어다 놓고 밤새 축제를 벌이다 곯아 떨어졌는데, 이 틈을 이용해 목마 속에 들어있던 그리스의 병사들이 성문을 열어 결국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는 전설 같은 이야기가 고대 도시 트로이와 목마에 담긴 이야기다. 겉으로 보기에는 전혀 해를 끼치지 않을 것처럼 보이지만 위험 요소가 내재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트로이 목마를 컴퓨터 해킹을 목적으로 전송하는 프로그램으로 지칭하는 것도 이러한 유래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그 유구한 역사와 의미에 비하면 트로이 목마는 너무나도 허술했다. 하지만 트로이 목마를 세계적인 관광지로 성장시킨 시와 지역주민, 고고학자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허술한 겉모습의 목마에 아랑곳 하지 않고 이를 보기위해 이 곳을 찾는다.

    이듬해 덴마크 코펜하겐을 갔을 때도 트로이 목마와 같은 비슷한 느낌의 명소를 갔었다. 그 유명한 인어공주 상이다. 알다시피 인어공주 상은 안데르센 동화 인어공주를 테마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 동화가 왕립극장에서 상연될 때마다 발레리나 엘렌 프리스가 인어 공주역을 맡았고, 이를 계기로 그녀가 인어공주상의 모델이 되었다. 하지만 인어공주 상은 세계적인 유명세와는 달리 너무나도 부실했다.
이를 보기 위해 카스텔레트 요새에서 해안을 따라 1시간 남짓 걸어간 노력이 아까울 정도였다. 80센티미터 밖에 되지 않는 이 작은 동상을 보기 위해 바다를 건너 왔다는 허탈감은 좀처럼 가시지가 않았다. 그러나 인어공주 상이 몇 차례나 훼손되어 복구의 과정을 거치고도 사라지지 않고 덴마크의 명소로 꼽히는 이유는 덴마크의 자긍심이 걸려 있기 때문이다. 수많은 관광객들이 붐비는 이유도, 덴마크에 가면 인어공주 상을 꼭 봐야 한다는 일정을 짜게 만드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들이 지역을 대표하는 의미를 부여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인어공주는 1백 년간 코펜하겐의 바닷가를 지키면서 덴마크의 긍지로 자리잡았다.
그냥 의미 없이 지나쳐버릴 수 있는 것들을 세계적인 명물로 발전시킬 수 있었던 것은 국가와 국민의 관심에서 비롯된 것이다. 우리 콜로라도 한인 커뮤니티에서도 이런 유명한 무언가가 있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지난 주말 열린 한국의 날 행사는 샌프란시스코 영사관을 주 스폰서로, 한국정부의 지원까지 받아낸 대형 이벤트였다.

    나름 의미있는 행사였지만, 여러 군데서 불만의 소리가 터져 나오면서 의미가 퇴색될까 염려스럽다. 그러나 시작이 항상 어려운 법이다. 옥의 티를 하나씩 벗겨낸다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싶다. 일년에 한번씩 열 예정이라는 이 한국의 날 행사가 터키의 트로이 목마처럼 콜로라도에서 한국을 홍보하는 대표 행사로 성장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