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공식 연인들의 은밀한 사랑 프라고나르의 ‘그네’

     공식적인 연인들은 아무 거리낌 없이 사랑을 속삭일 수 있지만 비공식적으로 사랑을 나누어야 하는 연인들은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달려가는 사랑을 잡을 수 없는 비공식적인 연인들이 사랑을 속삭이기 전에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남의 눈을 피하는 것이다. 그들은 남에게 자신들의 사랑을 숨기기 위해 지략을 짜낼 수밖에 없다.
쾌락을 향해 질주하는 비공식 연인들의 은밀한 사랑 행위를 표현한 작품이 장 오노레 프라고나르(1732~1806)의 ‘그네’다. 그네는 전통적으로 불륜을 상징한다.
‘그네’는 그네를 타고 있는 여인과 그네를 밀고 있는 늙은 남자 그리고 그네 앞에 있는 젊은 남자의 삼각관계에서 속임수를 써야 하는 젊은 연인들의 심리를 행동을 통해 세밀하게 표현한 작품이다.
이 작품을 처음 구상한 사람은 줄리앙 남작이다. 남작은 가톨릭 주교가 남작의 애첩이 타고 있는 그네를 밀고 자신은 그네 밑에서 애첩을 바라보고 있는 장면을 의뢰했다. 또 당시로서는 금기였던 ‘공중에 올라간 여성의 다리를 노출시켜 달라’고 주문했다. 그림 속 여인은 특정 귀부인으로, 이미 주교와 밀접한 관계였다. 즉 ‘그네’는 줄리앙이 자신과 주교 사이의 그녀에게 보낼 요량으로 주문한 연애편지였던 셈이다. 하지만 처음 줄리앙 남작에게 의뢰받았던 화가 가브리엘 프랑수아 도엥은 가톨릭계의 반발을 우려해 작품을 거절하고 그 당시 왕립 아카데미에 막 회원이 된 젊은 화가 프라고나르를 추천한다.
발랄한 여성이 그네를 타는 찰나를 유려하게 그려낸 ‘카르페 디엠(Carpe Diem)’ 기법은 매우 정교하다. 아름다운 여성을 잡으려 손을 뻗는 남성의 모습과 그네를 타는 아름다운 여성에게만 환한 빛이 비치는 모습은 마치 연극의 한장면을 보는 것 같기도 하다. 그림은 특히 프라고나르의 악동 기질이 양념돼 그 감칠맛을 더한다.
프라고나르는 작품을 제작하면서 남작이 놀림감으로 묘사하기를 원했던 주교의 역할을 배제한다. 그는 그네를 밀고 있는 늙은 남자나 정원에서 여인을 바라보고 있는 남자의 사회적 신분을 불분명하게 표현하면서 내용도 젊은 연인들이 나이든 남편을 속이는 것으로 바꾸었다.
늙은 남자가 밀고 있는 그네를 타고 있는 여인은 정원 숲속에서 자신을 바라보고 있는 남자와 은밀한 시선을 나눈다. 젊은 남자의 시선을 의식해 두 다리가 훤히 보일 정도로 그네를 타고 있는 여인은 슬리퍼 한 짝을 벗어 남자에게 던진다.
이 작품에서 신발은 여인의 잃어버린 순결을 의미하며 젊은 남자의 왼쪽 팔은 남성의 성기를 상징한다. 또한 여인이 입고 있는 장밋빛 드레스와 젊은 남자가 꽂고 있는 장미는 그들이 불륜에 빠진 연인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화면 왼쪽에 있는 큐피드 조각상은 손가락으로 입을 가리고 있다. 큐피드의 몸짓은 불륜에 빠진 젊은 연인들의 비밀을 지켜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화면 오른쪽 그네를 밀고 있는 늙은 남자 옆에 있는 푸티 조각상 중 하나는 젊은 연인들을 바라보고 다른 푸티는 늙은 남자 앞에 있는 개를 바라보고 있다. 전통적으로 푸티는 사랑의 중개자로 표현되며 개는 정절을 상징하는 동물이다.
이 작품에서 개는 두 사람의 불륜을 알리려고 짖고 있지만 늙은 남자는 눈치 채지 못하고 있다.
프라고나르는 이 작품에서 연인들의 달아오른 감정을 울창한 정원으로 표현했다. 사물의 의미를 강조한 그는 귀족들의 정숙함과 품위, 인격을 상징하는 신발을 벗김으로써 귀족들의 품위를 풍자했다. 이 그림이 인기를 얻자 비슷한 그림을 그려달라는 요청이 쇄도했다고 하니, 연애편지가 대박이 난 모양이다. 또 이 작품으로 프라고나르는 궁정화가로서도 명성을 얻게 됐다.
사실 예술의 도구화라는 관점에서 볼 때나 내용의 저속함을 볼 때 이 그림은 비난의 여지가 충분하다. 그러나 나쁘다 말하면서도 눈을 돌릴 수 없는 것은 ‘사랑’이라는 소재가 예나 지금이나 우리의 마음을 움직이기 때문이 아닐까.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