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에 개봉한 한국 영화 중에 <즐거운 인생>이라는 영화가 있다. 이준익 감독의 음악 영화인데, 일주일 앞서 개봉한 영화 <브라보 마이 라이프>와 내용이 거의 비슷한 것 때문에 논란이 일어 흥행에는 실패했다. 하지만 필자는 이 영화를 보면서 진한 공감대를 형성했었다. 다소 뻔한 이야기이지만, 흥겨운 음악과 기러기 아빠라는 현실적 소재를 잘 살린 훈훈한 작품이었다.
<즐거운 인생>은 음악인으로서의 삶을 바라던 남자들이 평범한 삶을 살다 우연히 재회하게 되면서, 삶의 열정을 다시 찾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정확히 이십 년 전, 대학가요제에서 3번의 탈락의 고배를 마신 록밴드 활화산. 그들은 이후 밴드를 해체했고, 음악인으로서의 삶을 포기하면서 평범하게 살아간다. 한 친구는 명예퇴직 후 집에서 눈치를 보며 살고 있고, 한 친구는 자식을 위해 택배 일과 대리운전 일로 하루하루가 고된 삶을 살고 있다. 그리고 또 한 친구는 기러기 아빠가 되어 자식과 부인의 유학비를 벌기 위해 열심히 일하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이 세 남자는 우연히 활화산의 리더 친구의 장례식에서 재회한다. 삶에 찌들어 살던 그들은 삶의 열정을 되찾고자, 이십 년 전 자신들의 희망이었던 활화산을 재결성해 음악인으로서 살기를 꿈꾼다. 그러나 그들의 실력은 이미 예전 같지 않다. 현실에서 그들을 인정해주는 곳은 어디도 없다. 가족들도 그들의 밴드 결성을 못마땅해한다. 급기야 기러기 아빠는 이혼을 요구당하고, 바쁘게 밤낮으로 일했던 친구의 아내 역시 집을 나가는 등 수난이 계속된다. 하지만, 그들은 끈기 있게 공연 준비를 하고 마침내 공연에 성공한다. 기러기 아빠는 이혼의 아픔을 공연의 벅찬 감동으로 회복하고, 집을 나간 친구의 아내는 공연장을 찾아 와 화해하게 이른다.
젊고 발랄한 영화배우들이 주인공이 아닌 탓에 시각적인 즐거움은 덜하다. 하지만 삶에 찌들은 중년의 주인공들을 보면서 우리의 모습이 언듯언듯 비쳐서 신선했다. 지루한 우리의 삶에 뭔가를 저지르게 하는 용기를 가질 수 있는 계기였다고나 할까. 우리는 아이들과 함께 잘 먹고 잘 살려고 이민을 왔고, 이 곳을 선택했다. 한국에 사는 사람들에게 미국에서 산다면 으레 ‘아주 잘산다’고 평가한다.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하다. 아침일찍부터 일어나 아이들을 학교 보내고, 세탁소나 리커스토어 혹은 식당에서 하루 종일 일을 하다가, 아이들을 픽업해서 하루는 피아노, 하루는 태권도, 또 하루는 수학 학원에 데려다 준다. 그리고는 밤이 늦어서야 지친 몸을 이끌고 집으로 들어와 곧바로 잠자리에 들기 바쁘다. 우리 대부분은 이렇게 20여년을 넘게 살아왔고, 살아갈 것이다. 뒤돌아 볼 새도 없이 달려온 덕분에 아이들은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을 무사히 졸업했지만 정작 본인은 허탈하고 외롭다. 잘 살기 위해 선택했던 길인데, 그다지 잘 살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 이유는 뭘까.
필자는 최근에 남편을 보면서 중년의 의미를 새롭게 찾았다. 필자의 남편은 밖에 나가는 것보다 집에서 혼자 영화를 보거나 게임을 하는 것을 좋아한다. 일명 집돌이다. 그런데 어느날 남편이 컴퓨터 게임에 중독되어 가는 모습을 발견했다. 그때 물었다. “게임이 그렇게 좋냐”고 말이다. 그의 대답은 당연히 “좋다”라고 했다. 아무 생각없이 앉아 게임을 하면 스트레스가 풀린다고 했다. 그렇지만 게임을 마치고 나면 피곤한 모습이 역력했다. 그래서 필자는 그에게 뭔가 색다른 취미거리를 찾아주고 싶었다.
그래서 작년 그의 생일 때, ‘기타’를 선물했다. 의외로 그는 함지박한 웃음을 머금고 어린 아이처럼 마냥 즐거워했다. 그는 자신의 일생에서 기타를 치게 될 것이라고는 한번도 생각한 적이 없다고 했다. 어릴 적부터 문화생활을 접해본 적이 거의 없었고, 피아노를 치는 사람을 직접 본 것도 필자가 처음이었다고 하니, 그는 음악에 있어 확실한 문외안이다. 그런 그가 태어난지 44년만에 기타라는 악기를 처음 잡아보게 되었다. 이때부터 남편의 도전은 시작되었다.
필자에게 <그대 내게 행복을 주는 사람>이라는 노래를 기타연주와 함께 꼭 불러주겠다는 목표도 생겼다. 이후 그는 게임을 하기보다는 기타를 만지고 있는 날이 많아졌다. 급기야 레슨을 시작했고, 아침마다 기타를 연습하는가 하면, 연습을 마치고 나면 흥겨운 마음으로 하루를 열어갔다. 지금까지 한번도 느껴보지 못했던 야릇한 희열까지 느끼면서 말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태권도를 시작했다. 국기원에 연락해서 81년도에 1품을 획득한 기록을 받을 수 있어 다행히 검은 띠로 시작을 하게 되었다. 남편의 나이가 사범을 제외하고는 제일 많아서 내심 걱정했지만, 그는 “큰 애와 작은 애와 함께 따로 놀수 있는 시간도 없었는데 오히려 재미있다”며 새로운 인생을 즐기고 있었다. 지난주 금요일에는 어린 관원들과 한시간동안 겨루기를 하고 집으로 돌아온 그는 땀에 흠뻑 젖어 있었다. 물 한잔을 벌컥벌컥 마시더니 숟가락 들 힘도 없다면서 곧장 침대로 향했다. 다음날 아침, 남편은 예상대로 마치 체력장을 끝낸 학생처럼 온 몸이 쑤시고 저리는 고통을 맛보았다. 그러나 그는 행복해했다. 중년에 맞닥뜨린 또다른 도전을 온몸으로 즐기고 있는 듯했다. 33년만에 그의 아름다운 도전이 시작된 것이다. 마치 영화 <즐거운 인생>의 주인공처럼 말이다. 독자 여러분들도 지난 날에 대한 후회는 일단 접어두고, 지금 이시각부터라도 <즐거운 인생>의 주인공이 되어보는 건 어떨까.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