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작품이 된 포스터 – 미술, 전통의 경계를 넘어서다


       우리는 길거리나 지하철역, 버스정류장 등에서 매일 광고를 위한 포스터들과 마주친다. 그런데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예술작품으로 전시되는 포스터들이 있다. 유화와 같은 회화 작품이 아닌 대량 인쇄한 포스터가 전통 미술의 경계를 넘어 예술작품이 될 수 있었던 계기는 1891년 12월의 어느 날 밤 프랑스 파리 시내의 건물 벽에 붙여진 한 장의 포스터로부터 시작되었다.


     화가 앙리 드 툴루즈-로트렉(Henri de Toulouse- Lautrec, 1864~1901)이 그린 이 포스터는 오늘날에도 관광 명소로 알려진 파리 몽마르트르(Montmartre)에 있는 카바레(cabaret) ‘물랑 루즈(빨간 풍차)’를 선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당시 물랑 루즈는 캉캉(cancan)춤 공연으로 큰 인기를 모았으므로, 포스터에는 스타 캉캉춤 댄서(dancer)인 ‘라 굴뤼(La Goulue)’와 ‘발랑탱 데조세(Valentin Désossé)’란 남성 댄서가 묘사되었다. 포스터 한가운데서 치마를 들고 한쪽 다리를 뻗고 있는 이가 라 굴뤼이다. 그녀의 본명은 루이즈 베버로, 세탁부 생활과 서커스단 생활을 거쳐 몽마르트의 유명한 춤꾼이 되었다. 그림에는 검은 실루엣으로 처리한 군중의 모습을 배경으로 흥겹게 춤을 추고 있는 라 굴뤼가 중앙에 보인다. 라 굴뤼의 이 신나는 춤에 맞춰 앞쪽에서 단색조로 처리된 발랑탱이 코믹한 자세로 끼어들고 있다. 그는 노는 것을 좋아하기로 매우 유명한 사람이었는데, 닭이 모이를 쪼러 가듯 머리를 까딱까딱하며 춤을 추곤 했다. 그 독특한 자세를 이 그림에서도 아주 생생히 엿볼 수 있다. 이들 사이에 노란 가스등, 장소와 출연자를 알리는 글자가 배치되어 있다.
포스터로 제작하느라 형태의 선을 살리고 색상을 단순화해 표현한 그림이어서 유화처럼 대상이 사실적으로 표현돼 있지는 않다. 하지만 댄스홀의 역동적이고 들뜬 분위기는 그 어떤 그림보다 잘 나타나 있다.

     이 포스터는 공개되자마자 충격과 논란을 불러 일으켰고, 심지어 거리 곳곳에서는 포스터를 몰래 떼어가 소장하려는 사람들로 소동이 일어났으며, 아이들의 눈을 가리고 지나가는 일도 벌어졌다고 한다. 그 이유는 보시다시피 라 굴뤼가 대중의 눈앞에 엉덩이와 속바지를 훤히 드러내는 낯 뜨거운 포즈로 그려졌기 때문인데, 로트렉이 그녀를 이렇게 묘사한 까닭은 무엇일까? 그것은 라 굴뤼가 늘 금발 머리를 상투처럼 틀어 올리고 앞머리를 일자로 자른 헤어스타일을 고집했고, 또 격렬한 춤 동작으로 소문났기 때문이다. 로트렉은 그녀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묘사했다. 덕분에 라 굴뤼는 파리 시민들 사이에서 가장 유명한 캉캉춤 댄서가 되었다. 또 그때는 그렇게 거저 가져가다시피 했던 로트렉의 포스터는 매우 비싸게 거래되는 명품이 되었다. 이 포스터는 현재 몇 장 남아 있으나 완전한 것은 극히 드물다.
본래 프랑스의 유서 깊은 귀족가문의 후계자였던 로트렉은 소년시절에 일어난 사고 때문에 다리가 더 이상 자라지 않는 장애를 갖게 되었다. 때문에 그는 화려한 사교계를 떠나 가난한 화가나 연예인들이 모인 몽마르트에 거주하면서 라 굴뤼를 비롯한 댄서, 배우, 가수 등과 같은 연예인들과 우정을 나누었다고 한다.

     그는 자연스레 자신의 그림 속에 연예인들을 등장시켰고 때로는 공짜로 포스터를 그려주었다. 덕분에 로트렉은 어느 누구의 간섭도 없이 오로지 자신의 주관에 따라 그들의 외모와 행동의 특징을 개성적이고 독특하게 표현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포스터는 주문자의 의견에 따라 연예인의 모습을 보기 좋게 미화시키는 데만 신경을 쓰던 동시대의 상업 포스터와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로트렉은 이 포스터에서 물랑루즈를 선전하기보다 댄서 ‘라 굴뤼’의 개성적 이미지를 표현하는 데 더 관심을 가졌기 때문이다. 로트렉은 포스터를 그림과 차별 없는 예술적 표현 수단으로 생각했기 때문에 포스터에도 서명을 남겼고 회화들과 함께 전시하기도 했다. 덕분에 로트렉의 포스터에 묘사된 당시 반짝 스타에 지나지 않았던 연예인들도 오늘날까지 불멸의 스타로서 그 이미지가 영원히 기억될 수 있었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