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이 해냈다" "Yes, We can" 눈물의 고별 연설···레임덕 없이 8년 임기 마침표

          2009년 1월 20일 만 48세에 미국 제44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미 건국 이래 첫 흑인 대통령, 존 F 케네디(취임 당시 44세) 이후 가장 젊은 대통령이었다. 이라크·아프가니스탄 전쟁과 금융위기로 휘청대던 미국인들에게 변화(Change), 희망(Hope), 그리고 “우리는 할 수 있다(Yes, We can)!”를 외쳤다. 인종 갈등 총탄에 스러진 목숨들을 위로하며 눈물을 감추지 않았고, 스스로 망가지는 개그를 서슴지 않는 ‘코미디 최고사령관(Comic in Chief)’이기도 했다. 버락 오바마. 8년 임기 동안 흰머리가 부쩍 늘어난 그가 2017년 1월 백악관을 떠난다. 10일 저녁 시카고 컨벤션센터 맥코믹플레이스에서 열린 고별연설에서도 오바마는 ‘변화’를 외쳤다. “2009년 우리가 직면한 도전을 강하게 헤쳐나갔다. 이 나라를 더 나아지게 할 수 있다는 신념과 믿음을 버리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여러분이 해냈다. 여러분이 변화였다(That's what you did. You were the change)”라고 강조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레임덕’ 없는 대통령으로 불린다. 취임 첫해 65%가 넘었던 국정 지지율은 ‘오바마 케어(건강보험개혁법안)’ 논란으로 부침을 겪긴 했어도 임기 말까지 55%를 기록했다. 마이너스였던 경제성장률은 성장세로 올라섰고(2009년-2.8%->작년 3분기 3.5%), 실업률은 뚝 떨어졌다(2009년 7.8%->2012년 12월 4.7%). 오바마케어 도입으로 의료무보험자 비율도 크게 줄었다(2010년 16.0%->2015년 9.1%). 동성결혼, 이민자 보호, 환경보호 등 진보적 가치를 적극 옹호해 미국 사회 다양성을 확대했다. 아쉬움도 적지 않다. 취임 첫해 노벨평화상을 수상하면서 세계인의 기대감을 한 몸에 모았지만 시리아 내전과 이슬람국가(IS) 팽창 등 중동 문제를 수습하지 못했다. 대북 전략 오판 속에 핵실험 도발을 막지 못했고 러시아·중국과의 통상·안보 갈등도 심화됐다. 외교 성과로 꼽히는 이란 핵협상, 쿠바와의 관계 정상화 등은 ABO(Anything but Obama·오바마에 무조건 반대)를 외치는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 취임과 함께 바람 앞 등불 신세다. 하지만 부정부패나 개인사로 인한 스캔들 없이 깔끔하게 퇴장하는 오바마 대통령의 뒷모습은 많은 국가지도자·정치인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56세로 퇴임하는 그의 제2라운드가 기대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지난 8년의 오바마 임기를 백악관 공식사진 및 외신 사진들을 중심으로 돌아봤다. 페이스북 이모티콘의 좋아요·최고예요·웃겨요·멋져요·슬퍼요·화나요처럼, 세계 최강국 리더의 2900여 일은 희로애락으로 출렁였다. 이제 모두 역사의 한 장면이다.

60년 전통 깨버린 트럼프의 선택
'취임식 아나운서' 교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60년간 11명의 대통령 취임식 때마다 축하 퍼레이드를 중계해온 아나운서를 갈아치웠다. 8일 CNN에 따르면 34대 드와이트 아이젠하워의 두 번째 취임식이 열린 1957년부터 모든 대통령 취임식 축하 퍼레이드 진행을 맡아온 89세 찰리 브로트먼(사진)의 목소리가 오는 20일 열리는 트럼프 취임식에는 들리지 않을 예정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브로트먼 대신에 프리랜서 아나운서로 미국 메이저리그(MLB) 중계를 해온 스티브 레이(58)를 진행자로 선택했다. CNN과 워싱턴포스트(WP), WJLA 등은 브로트먼의 목소리는 미국 국민들에게 '취임식 퍼레이드의 목소리'로 하나의 미국 전통으로 받아들여졌지만, 트럼프가 자신의 취임식에서는 레이로 갈아치우면서 '전통 깨기'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고 전했다. 브로트먼은 WJLA와의 인터뷰를 통해 자신이 이번 취임식 진행을 하지 못한다는 소식을 처음 들었을 때 "매우 상심했다"며 "파괴된 기분"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트럼프 측은 이번 '전통 깨기'는 다음 세대를 위해 새로운 전통을 만들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트럼프 정권인수위팀 대변인은 "1957년부터 수백만명의 미국인들과 셀 수 없는 연예인들은 찰리 브로트먼을 취임식 퍼레이드의 목소리로 인식해왔다"며 "그는 '아나운서 명예회장'으로 등극했다"고 말했다. 대변인은 "새로운 세대의 미국인들을 위해 스티브 레이를 소개할 수 있어서 기쁘다"고 말했다. 차기 취임식 아나운서 레이는 WP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모두 찰리 브로트먼을 한 건물과 같이 워싱턴 풍경의 일부 같은 존재로 생각한다"면서도 "나는 그를 대체하는 것이 아닌 다음 세대의 취임식 진행자일 뿐"이라고 밝혔다.

LA다운타운 100년 만에 개발붐 기대는 되는데…
렌트비 크게 올라 문닫는 업소 속출

          LA다운타운이 100년 만에 개발 붐으로 새롭게 변모중이지만 이에 따른 부작용도 만만치가 않아 해결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LA다운타운뉴스는 신축 건물들이 올라가고 새 비즈니스 유입과 전입자들로 LA다운타운 지역이 활성화되고 있지만 주거비 상승, 주차난, 공사에 따른 불편, 학교 부족, 젠트리피케이션, 홈리스 문제 등 현안들도 많다고 지적했다.
주거비 상승
LA다운타운센터 경제개발지구(BID)에 따르면 현재 다운타운에는 아파트 1600세대가 건립 중이고 6000세대가 계획중이다. 하지만 공급은 늘어도 렌트비는 떨어지지 않고 있다. 상업용 부동산 전문업체 마커스앤밀리챕은 다운타운 아파트 월 렌트비가 지난해 8.9% 올라 평균 2245달러에 이른다고 전했다. 렌트비의 고공행진으로 세입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주차공간 부족
지금도 주차장 부족으로 일부 거주자들은 차를 포기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있다. 더구나 진행중인 오피스와 아파트 프로젝트들이 완료되면 주차난은 더 심각해질 전망이다. 이로 인해 다운타운 거주자는 물론 방문자들도 주차공간을 찾기 위해 거리를 헤매는 상황이 예상된다는 게 지역 업주들의 전언이다.
LA다운타운을 기반으로 한 대형주차장 운영업체 L&R그룹은 지난 2014년 여름부터 2016년 말까지 LA다운타운에서 총 8000대의 주차공간이 사라졌다고 추산했다.
공사로 인한 불편
LA다운타운에는 현재 100여 개가 넘는 크고 작은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거나 계획중이다. 이로 인해 이 지역 전체가 공사장을 방불케 하고 있다. 공사로 인한 소음은 물론 보행자들은 인도를 빼앗기고 있으며 공사에 따른 먼지도 심해 공기 상태도 좋지 않은 상황이다.
학교 부족
LA다운타운에는 도심생활을 선호하는 젊은 부부들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그러나 이들의 자녀가 다닐 초등학교는 매우 부족한 실정. 지난 2013년 오픈한 메트로 차터 초등학교에는 입학 대기자들이 줄을 서 있는 상태다. 하지만 학교 측은 부지를 확보하지 못해 오피스 공간을 임대해 사용중이다.
젠트리피케이션
개발에 항상 따라다니는 게 젠트리피케이션 이슈다. 유입인구 증가로 상권이 활성화되면서 건물주들은 상가 렌트비를 대폭 올리고 있다. 오른 렌트비를 감당하지 못해 문을 닫는 업소들도 속출하고 있다. 실속있는 식당들의 폐업으로 주민들은 적당한 가격대의 식당 찾기가 쉽지 않다는 불평이다.
줄지 않는 홈리스
LA다운타운의 홈리스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해결의 실마리도 보이지 않고 있다. 다운타운 개발붐의 이면에는 홈리스 문제가 존재하고 있다. 스키드로 지역을 포함해 홈리스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근본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트럼프 "대선 해킹 배후 러시아 맞다" 첫 인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11일 해킹을 통한 러시아의 대선 개입을 처음으로 공식 인정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뉴욕 트럼프타워에서 지난해 11월 8일 대선 승리 후 첫 기자회견을 열어 “러시아가 대선 해킹의 배후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러시아의 대선 개입 의혹을 제기한 이래 트럼프가 이를 명확히 인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와 함께 자신이 러시아 측에 약점을 잡혔다는 일부 언론의 의혹을 부인했다. 트럼프는 러시아 관련 문서를 “가짜 뉴스(fake news)”라며 “조작된 물건(phony stuff)”이라고 강조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우호적 관계는 부채가 아닌 자산이라고도 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와 함께 자신의 모든 기업 자산을 독립적 신탁에 맡기겠다고 공언했다. 두 아들이 트럼프 그룹을 맡게 될 것이라는 경영 승계 입장도 분명히 했다. 트럼프는 오는 20일 미국 제45대 대통령으로 취임한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