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가족 기업 연루 투자사기 의혹까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맏사위이자 백악관 선임고문을 맡고 있는 제러드 쿠슈너(369)가 러시아 스캔들에 이어 가족기업과 관련된 투자 사기 의혹까지 받으며 사면초가에 몰렸다. 30일 CNN 등 주요 언론들에 따르면 공화당의 중진인 척 그래슬리 상원 법사위원장(아이오와)이 쿠슈너 선임고문의 가족기업과 관련된 투자 사기 의혹에 대한 공식 수사를 전날 촉구하고 나섰다. 그래슬리 위원장은 “쿠슈너 고문의 가족 기업이 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부동산 투자를 홍보하는 중국 기업 2곳이 사기성 재무제표와 허위 사실을 공표했을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수사를 요구한다”고 말했다.  그래슬리 위원장이 언급한 한 중국기업은 쿠슈너 일가가 운영하는 ‘쿠슈너 컴퍼니즈’와 연결된 중국 기업 ‘치아오와이’라는 기업이다. 이 회사는 이달 초 베이징 리츠칼튼 호텔에서 뉴저지주에 건설할 호화 아파트 ‘원 저널 스퀘어’ 투자설명회를 열고 이 아파트에 50만달러를 투자하면 투자이민비자(EB-5)를 받을 수 있다고 홍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기업은 ‘미국 이민펀드’라는 회사이다. 이 회사는 또한 투자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쿠슈너 고문을 통한 트럼프 대통령과의 ‘연고’를 강조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EB-5 비자 승인을 보장할 것이라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당시 설명회에는 쿠슈너의 누나인 니콜 쿠슈너 마이어까지 직접 참석, 쿠슈너 선임고문을 언급하면서 “이 사업은 나와 전체 가족에게 많은 의미를 지닌다”고 말하기도 했다. 워싱턴 정계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권력인 쿠슈너에 대해 여당인 공화당 중진이 공식 수사를 촉구하고 나선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회사 측은 “쿠슈너 고문과는 상관없다”고 해명했지만 이미 민주당이 그의 즉각 해임을 촉구하고 트럼프 측근들이 휴직을 종용하고 나선 가운데 불거진 새로운 스캔들로 백악관 내 그의 입지는 한층 좁아지게 됐다. 쿠슈너는 정권 인수 기간인 지난해 12월 초 뉴욕 맨해턴의 트럼프타워에서 세르게이 키슬랴크 미 주재 러시아 대사와 만나 ‘비밀 채널’ 구축을 제안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또 쿠슈너는 지난해 12월 러시아 대외경제개발은행의 세르게이 고르코프 은행장을 만난 목적에 대해서도 의문은 증폭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쿠슈너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기존 외교 채널과는 별개의 직통 라인을 구축하려 했을 수 있다고 전·현직 당국자들을 인용해 전했다. 이에 대해 공화당의 존 매케인 상원 군사위원장은 쿠슈너의 러시아 대사 접촉이 ‘표준절차’라는 행정부 측 해명에 “상원 인준도 받지 않고 공식 직함이 없는 인사의 이런 행동이 표준절차라고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연방의회 조사와 연방수사국(FBI) 수사에 특검까지 받게 된 ‘러시아 커넥션’이 어떻게 전개되느냐에 따라 쿠슈너의 거취는 물론 트럼프 대통령의 운명도 좌우될 것으로 내다봤다.

 시니어들 메디케어 처방약값‘고통’

콜레스테롤약 ‘크레스터(Crestor)’를 지난해 가을부터 처방받기 시작한 김선필(78·LA)씨. 그는 지난 4월 처방약을 받기위해 약국을 방문했다가 깜작 놀랐다. 김씨가 갖고 있는 메디케어 파트D 플랜이 크레스터 처방을 커버하긴 하지만 매달 100달러를 부담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크레스터는 과체중이나 비만이 있는 시니어들이 가장 많이 처방받고 있는 대표적인 콜레스테롤약으로 메디케어 어드벤티지에서도 커버가 안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최대 300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커버가 되더라도 70~100달러의 코페이를 매달 내야 한다.  지난 5월 초 그나마 ‘로수바스타틴’이라는 유사한 일반약(generic brand)이 나왔지만 효능이 떨어지는 것 같아 약국을 나서는 김씨의 발길은 여전히 무겁다. 이처럼 시니어들의 파트D를 통한 약값 비용이 갈수록 늘고 있어 우려가 가중되고 있다. 김씨는 “트럼프 정부 출범 후에도 약값 억제 정책을 시행하겠다고 하지만 약값은 여전히 아랑곳하지 않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0일 파트D를 통한 처방약 중간가격이 2011년의 79달러에서 2015년 117달러까지 올랐다고 보도했다. 이처럼 30%가 넘는 처방약값 상승은 메디케이드나 다른 주정부 프로그램을 통해 보조를 받지 않는 일반 시니어들의 생활비를 고스란히 축내고 있는 것이다. 메디케어 서비스 주무 기관인 ‘센터포메디컬서비스(CMS)’의 올해 초 통계에 따르면 파트D가 커버하는 220여 개 주요 처방약은 2015년 현재 개인 부담이 연간 평균 1000달러에 육박해 2011년에 비해 무려 86%나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매년 평균 14%씩 폭등한 셈이다. 게다가 특히 오랜 연구기간을 거친 신약들은 연간 복용 비용이 5만 달러에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런 폐해를 방지하기 위해 연방 의료 당국은 메디케어 수혜자가 4950달러를 지불하면 이후에는 ‘비상 혜택’이라는 이름으로 처방 약값을 80%까지 보조하고 있는데 이 보조금 액수도 2015년 현재 5년 전에 비해 3배나 상승한 330억 달러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제약회사가 약 판매를 위해 제공하는 인센티브와 리베이트는 시니어 약값에 대한 할인으로 이어지지 않고 고스란히 보험회사들의 몫이 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관련 업계의 지적이다.

10명 중 2명은‘이민노동자’아시아계, 멕시코 넘어

           미 노동시장의 이민자 의존도가 갈수록 커지고 있어 현재의 신규 이민 규모가 유지되지 않을 경우 미 노동시장은 향후 20년 이내에 급격한 노동력 부족사태를 맞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CNN머니는 미 노동력 변화실태를 조사한 ‘퓨 리서치 센터’의 최신보고서를 인용해 미 노동시장은 지난 수 십 년간 이민노동자 의존도가 급격히 상승하고 있으며, 이민 노동자 지형변화도 빨라지고 있어 미 노동시장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고 최근 지적했다. 이에 따르면, 현재 미 노동시장에서 이민 노동자의 비중은 불법체류 이민자 5%를 합쳐 17.1%에 달하고 있다. 이는 미 전체 노동자 10명 중 약 2명 정도가 이민노동자들이며, 이민노동자의 약 25%는 불법체류 이민자가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CNN머니는 앞으로 20년 내에 미 노동시장은 급격히 위축돼 심각한 노동력 부족사태를 맞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이민노동자 의존도가 높은 건설업과 농업에서는 이민노동자 부족으로 심각한 인력난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불법체류 이민자 인구는 1,100만명으로 추산되고 있으나, 실제 노동인구는 800만명 정도. 이는 1995년 360만명에서 경기침체기 직전인 지난 2008년까지 830만명까지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것과 비교하면 오히려 감소한 것이어서 이민노동력 부족사태를 낳고 있다. 아시아계 신규 이민 유입이 급격히 늘면서 이민자 인구지형 변화도 빠른 속도로 나타나고 있다.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신규 이민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던 멕시코계 이민자를 아시아계 이민자가 빠른 속도로 대체하고 있다. 멕시코계 신규 이민은 지난 2004년 전체 신규 이민의 55%를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이었으나, 2015년 28%로 급락했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