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판 탄핵 판도라’의 상자가 열렸다. 제임스 코미 미국 연방수사국(FBI) 전 국장은 7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에게 ‘러시아 스캔들’ 관련 수사를 중단하라는 요구를 했다고 폭로했다. 코미 전 국장은 상원 정보위원회 청문회를 하루 앞두고 공개한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나에게 ‘난 당신의 충성심을 요구하고, 또한 기대한다(I need loyalty, I expect loyalty)’는 말을 했다”며 “대통령은 또 ‘마이클 플린 전 국가안보보좌관에 대한 수사에서 손을 떼주었으면 좋겠다(I hope you can let this go)’는 말도 했다”고 밝혔다. 코미는 또 “트럼프와는 4개월 동안 3차례 만나고 6차례 전화통화를 했다”며 “트럼프와의 대화를 기록한 메모도 갖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코미가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의 수사중단 외압을 시인하는 ‘폭탄선언’을 청문회 하루 전에 내놓음에 따라 미 정국은 엄청난 파장이 예상된다. 당장 특검 수사가 급물살을 타고, 여론의 ‘트럼프 탄핵론’도 급부상할 전망이다. 코미 전 국장의 성명 내용이 사실이라면 대통령 탄핵사유에 해당하는 ‘사법 방해’라는 게 중론이기 때문이다. 이날 성명에서 코미 전 국장은 그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개인적으로 “당신(트럼프 대통령)은 수사대상이 아니다”라고 확인한 사실도 밝혔다. 이는 그동안 트럼프가 계속 말해 온 내용이다. 일정 부분 트럼프의 주장도 맞음을 밝힌 것이다. 코미 국장은 성명에서 “난 내일(8일) 청문회에서 나와 트럼프 대통령의 일대일 회동과 관련해 이같이 증언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70년 전 산 주식 1000달러가 200만 달러로

           시카고 토박이 러스 그리멜(98) 할아버지는 70년 전 20대 후반 때 월그린 주식 1000달러 어치를 샀다. 사람들은 항상 약을 먹을 것이고 여성들도 항상 화장품을 구입할 것이라는 생각에 월그린 주식을 사서 묻어뒀다.  1902년 20대의 젊은 약사 찰스 R 월그린이 6000달러를 주고 시카고 시내에 있는 약국 한 곳을 매입해 시작한 월그린은 세월이 흘러 미국 50개 주에 8700개가 넘는 체인점을 운영하는 미국 최대의 약국 체인이 됐고 그리멜이 보유한 주식은 200만 달러가 넘는 자산이 됐다. 그리멜은 지난 2015년 일리노리주의 자연보호단체인 오스본 소사이어티에 기부 의사를 전했고 마침 395에이커의 야생보호지 구입을 계획하고 있던 오스본 소사이어티는 그 주식을 선물 받아 이듬해 210만 달러를 주고 야생보호지를 매입했다.  그리멜의 집에서 서쪽으로 100마일 정도 떨어져있는 야생보호지는 지역 주민들이 찾아와 어린시절 했던 것처럼 자연을 경험하고 즐길 수 있게 하기 위한 곳으로 만들 예정이다. 이곳에는 170종이 넘는 새들이 둥지를 틀고 있고 개체수 급감으로 위기에 처한 많은 동물들이 살아가고 있다.  그리멜은 시카고 트리뷴과의 인터뷰에서 “난 매우 심플한 사람이다. 살면서 나 자신을 위해서는 돈이 필요없었다”며 “죽기 전에 돈을 누군가에게 줘야하는데 사람들이 즐길 수 있도록 자연을 보호하는 그런 일에 쓰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리멜은 본인이 말한 것처럼 매우 소박하고 검소한 삶을 살았다. 4살 때 부모님이 지은 벽돌집에서 지금껏 살고 있다. 95년을 한 집에서 산 것이다. 그래서 모기지를 내 본 적이 없다. 결혼을 하지 않아 부양할 가족도 없었다. 마지막으로 운전한 차는 다지 옴니로 그 차는 무려 25년 넘게 몰았다. 그가 가장 좋아한 것은 하이킹과 캠핑이었다. 생업전선을 떠난 그는 보이스카웃 매스터를 맡아 수천명의 스카웃 소년들을 도우며 그들의 삶에 영향을 끼쳤다. 그와 함께 60년 넘게 보이스카웃 매스터 일을 해온 동네친구 잭 헤네한은 시카고 트리뷴에 “그리멜이 수백만 달러 주식을 기부한다는 소식을 듣고 놀라지 않았다”면서 “그가 수천명의 소년들에게 준 선물이 주식 기부 보다 100배는 더 귀할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인 59%, 트럼프의 파리기후협정 탈퇴에 반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일 파리기후협정 탈퇴를 선언해 거센 논란이 이는 가운데 미국인 10명 가운데 6명은 파리기후협정 탈퇴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워싱턴포스트(WP)와 ABC 방송의 공동 여론조사(6월 2∼4일·527명) 결과에 따르면 파리기후협정 탈퇴에 대한 입장을 물은 데 대해 응답자의 59%는 반대, 28%는 찬성 입장을 각각 나타냈다. 찬반 입장을 구체적으로 보면 반대 59%의 경우 46%는 ‘강력 반대’, 13%는 ‘다소 반대’였으며 찬성 28%는 강력 반대가 18%, 다소 반대가 10%였다. 정당별로는 민주당 응답자는 82%가 반대한 반면 공화당 응답자는 67%가 찬성해 확연한 대조를 보였다. 무소속 응답자 가운데는 반대(63%) 의견이 찬성(22%)을 압도했다. 또 파리기후협정 탈퇴가 미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42%는 경제에 해가 된다는 반응을 보였으나 32%는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변했다. 20%는 별다른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일자리 영향과 관련한 세부 질문엔 47%는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는 입장을, 39%는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라는 의견을 각각 냈다. 미국 리더십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질문에는 55%는 리더십 타격이 예상된다, 23%는 별다른 차이가 없다, 18%는 리더십에 도움이 된다고 각각 응답했다. 이밖에 미국의 파리기후협정 탈퇴가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문제 해결 노력에 미칠 결과에 대해선 51%가 타격이 예상된다고 응답했다. 이 질문에 33%는 별다른 차이가 없다, 11%는 오히려 도움이 될 것이라는 답변을 내놨다. 미국은 세계 2위의 탄소 배출국으로, 미국의 탈퇴 선언으로 파리기후협정은 사실상 존폐의 갈림길에 섰다.

대학생들 카드 수수료·연체료로만 8억불

         대학생들이 데빗 또는 크레딧카드 사용시 은행 수수료로 내는 돈만 연간 8억 달러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재정 정보 사이트인 ‘너드월렛’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대학생들의 85% 가량이 체킹계좌를 갖고 있는데 1년에 최소한 두차례 오버드래프트 수수료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학생들 중 30% 가량은 크레딧카드 연체료로 연간 7300만 달러를 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 내 풀타임 대학생 숫자는 1100만 명으로 이미 학자금 융자, 건강 보험료, 높아진 학비 등으로 힘겨워진 상황에서 각종 수수료 부담은 가정 경제에 더욱 압박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대학생들이 자신의 재정을 관리할 수 있는 기본적인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 이같은 현상을 초래한 가장 큰 요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주어진 재정 안에서 소비하고 필요시 긴축 재정을 유지해야 하는데 무책임하게 쇼핑에 나서거나 외식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너드월렛의 리즈 웨슨 칼럼니스트는 “일부 은행에서 제공하는 ‘수수료 제한’ 옵션을 선택하거나 아예 수수료가 없는 온라인 은행을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라며 “특히 크레딧카드는 비상시에만 사용하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여기에다 대학생들의 카드에 비교적 높게 부과되는 이자율도 원인 가운데 하나로 지적됐다. 통계에 따르면 대학생들의 크레딧카드 이자율은 평균 18.64%로 조사됐으며 이는 미국 전체 평균 이자율에 비해 4~5%p가 높은 수준이다. 반면 은행들이 낮은 ‘미니멈 페이먼트’를 책정해 카드빚이 불어날 수밖에 없는 조건을 만들고 있는 것도 학생들이 간과하는 부분 중의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