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경제발전 모델 학습 통해 4차 산업으로 단번에 도약 노려”

    중국 3차례, 싱가포르 1차례 등 중국, 미국 정상과의 회담을 위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4차례 해외 방문은 이중 포석이다. 대미 비핵화 협상력 강화라는 정치적 목적과 더불어 개방경제 모델 학습이라는 목표가 김 위원장 동선을 통해 드러난다. 그가 시찰한 과학과 관광, 농업, 사회 인프라 시설에는 그의 관심사와 북한의 발전전략이 고스란히 반영돼 있다. 3차 북중 정상회담을 위해 19일 중국을 찾은 김 위원장은 20일 오전 수행원들과 베이징 농업과학원을 방문했다고 일본 TBS방송 등이 보도했다. 이어 오후엔 서울과 평양, 베이징을 잇는 중국횡단철도(TCR) 사업을 염두에 둔 듯 베이징시 기초시설투자 유한공사를 찾은 것으로 전해졌다.
집권 후 7년만의 첫 해외 방문이었던 지난 3월 1차 방중에서 김 위원장은 중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중관춘을 찾아 ‘중국 과학 혁신 성과전’을 둘러봤다.

    5월 초순에 이뤄진 중국 라오닝성 다롄으로의 2차 방중 일정에서는 수행원들을 오락시설이 밀집한 동항 상무구와 레이저 프로젝터 TV, 영사기 등을 만드는 국유기업 화루그룹에 보내 중국 문화사업을 참관케 했다.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전날인 11일 밤 김 위원장은 관광 랜드마크인 마리나 베이 샌즈(호텔)에서 시내를 둘러보며 “앞으로 여러 분야에서 귀국(싱가포르)의 훌륭한 지식과 경험들을 많이 배우려고 한다”고 했다. 숙원 사업인 원산갈마지구에 적용할 국제 관광 및 MICE(회의ㆍ포상관광ㆍ컨벤션ㆍ전시) 산업모델을 염두에 뒀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었다. 이로써 중국ㆍ싱가포르 등 해외 순방에서 김 위원장의 모든 일정에는 ‘경제’라는 주제가 포함된 모양새가 됐다.

    여러 정황상 김 위원장이 핵무기와 바꾸기로 마음 먹은 건 경제 도약이다. 중국 싱가포르 방문 과정에서도 북미 협상 후 경제 발전 전략을 구상하는 차원에서 각종 과학, 농업, 경제 시설을 방문한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경제 개방을 시사하며 ‘경제 개발 속도전’에 나선 것도 지금이 경제적으로 도약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는 위기감에서라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