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의금 대신 기부, 위로카드 일반적, 방명록에 관계 기재 바람직

    다인종 이민사회인 미국에서는 장례식도 민족, 종교별로 각기 다른 절차를 따르고 있다. 죽음에대한 개념이 조금씩 다르기에 받아들이는 태도도 다르고, 이에 대한 정서도 다르게 표현되기에 문상을 갈 때 사전에 사망한 사람과 그 가족들이 어떤 문화의 장례를 치르는지 미리 알아두어야 실수를 예방할 수 있다.
이 기사에서는 미국에서 보편적으로 따르는 방법을 중심으로 문상객으로서 알아두면 좋을 에티켓을 살펴본다.

    일단 미국에서는 누군가가 사망을 하고 장례를 치르는 방식이 한국과 상당히 다르다. 한국은 누군가가 사망을 하면 재빨리 시신을 안치실로 옮기고, 가족들은 장례식장을 고르는 것으로 시작해서 장례 절차에 들어간다. 3일동안 장례를 치르는 3일장이 일반적이고 이 기간동안 상주 및 가족들은 조문을 받고, 조문객들에게 음식을 접대한다. 조문객들이 가급적 오랜 시간 상가에 머무르면서 가족들과 슬픔을 나누는 것을 호의로 여긴다. 과거에는 밤을 새우며 조문을 받고, 문상객들이 함께 밤을 새우는 것을 좀더 깊은 배려로 여겼으나 최근에는 극도로 피로한 유가족들을 위해 밤 늦은 시간에는 조문을 받지 않는 문화가 생겨나고 있다.

    미국의 장례식은 절차에서부터 차이가 나는데, 일단 누군가가 사망을 하면 가족들이 작별 인사를 할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한 뒤에 시신을 장례식장으로 옮기게 된다. 병원에서 사망을 하면 가족들이 선택한 장례식장과 병원이 연락을 취해서 절차를 밟고, 집에서 사망한 경우에는 유가족이 직접 장례식장에 연락을 하게 되고, 장례식장 측에서는 바디 백(body bag)을 이용해서 시신을 운구한다. 그리고 나면 부고를 알리는 일부터 시작해서 장례식 절차에 들어가게 된다. 부고는 가족이나 가까운 지인에게는 전화로 연락을 하고, 그 외에는 지역 신문을 통해 광고를 낸다.

    부고에는 조문 날짜와 시간, 장소, 그리고 장례식 날짜, 시간, 장소 등을 알린다. 부고에 ‘Friends may call at’ 또는 ‘Reposing at the’라고 되어 있으면, 부고를 본 지인들은 누구나 참석해도 좋다는 뜻이지만, ‘Funeral private’이라는 내용이 있으면 조문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런 경우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별도의 초대가 없었다면 참석하지 않아야 한다. 부고에는 조의금이나 꽃을 보내는 대신에 기부를 해달라는 내용이 실리기도 한다. 주로 그 내용은 ‘in lieu of flowers…’라거나 ‘family and friends are making contributions to…’라는 문구로 표현된다.

    전화 또는 부고 광고 등을 통해 지인의 사망 소식을 듣게 되면 가족들에게 꽃이나 음식을 보내기도 한다. 특히 음식을 보내는 문화는 장례를 위해 준비해야 할 일들이 많은 데다 가족을 잃은 상실감에 유가족들의 심신이 지치고 극도의 스트레스 상태에서 식사까지 신경을 쓰지 않도록 배려하는 의미가 담겨 있고, 장례가 끝나고 2주 정도 뒤까지 음식을 보내기도 한다. 꽃을 보낼 때는 장례식장으로 바로 보내는데, 이때는 위로 문구와 이름을 넣은 카드를 화환과 함께 보내도록 꽃집에 요청할 필요가 있다. 장례가 다 끝난 뒤 장례업체에서 이 카드들을 모아서 가족에게 전달하는 데 이 때는 꽃을 보낸 조문객들을 알 수 있도록 돕기 때문이다.

    조의금은 조문이나 장례식 때 받는 가족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 가족들도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받지 않는 쪽이 더 많다. 하지만 조의금을 전달하고 싶을 때는 위로 카드와 함께 현금 또는 수표로 전할 수 있고, 금액도 성의껏 정한다. 반면 고인이나 유가족이 속한 직장이나 단체에서는 구성원들이 돈을 모아서 전달하기도 하는데, 이 방법에 대해서는 좀더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문화이다. 하지만 조의금 대신 미국에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위로 카드(sympathy card)를 전달하는 것이다. 기부를 하게 되는 경우에는 ‘This donation is sent in loving memory of (고인의 이름)’라고 카드에 써야 추후에 상주가 기부금을 보낸 사람들을 알 수 있고, 감사 인사를 전할 수 있다.

    조문(Wake)은 보통 하루나 이틀 동안 하루에 한 차례 또는 두 차례 정도 시간을 정해놓고 문상을받는다. 장소는 집이나 장례식장일 수 있다. 조문을 갈 때는 대개 남녀 모두 검은색 정장을 입지만최근 들어서는 무난한 색과 디자인의 옷도 무방한 분위기이다. 문상을 가서는 방명록에 서명을 하는데 이때 사망자의 가족들과 아는 사이가 아니라면 관계를 적어서 가족들이 누구인지 나중에라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족에게 다가가서는 목례를 나누거나 가까운 사이에는 포옹으로 위로를 전할 수 있다. 이어서 인사말과 고인에 대한 추억이나 일화를 간단히 나눈다.

    인사말은 주로 ‘I am so sorry for your loss’가 가장 일반적이고‘My sympathy to you and your family’ 또는 ‘I am here if you need to talk’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고인에 대한 기억을 나누는 것은 가족들이 몰랐던 고인의 이야기를 듣게 되어서 위로가 된다. 하지만 고인의 사망 경위 또는 유산이나 유품에 관한 이야기 등은 피하는 것이 좋다. 만약 유가족과 안면이 없는 사이라면 고인과 어떤 사이인지에 대해 소개를 해야 한다. 조문이나 장례식 때 정서적으로 한국과 상당히 다른 점은 한국처럼 가족들이나 조문객들이 통곡이나 오열하는 경우가 별로 없는 부분이다. 슬픔을 담담하게 이겨내고, 때로는 농담을 하고 웃기도 한다.

    아일리프 신학대학(Iliff School of Theology) 부총장 이보영 목사는 “서양의 개인적인 문화로 인해 슬픔을 타인에게 의지해서 나누지 않는 경향이 있다. 여기에 더해 기독교의 영향으로 죽음에 대해 슬퍼하기 보다는 이 세상에서 영원한 생명의 세상으로 옮겨갔다는 데 초점을 맞추어서, 고인이 이 세상에서 잘 살았던 삶을 셀러브레이션(celebration) 한다는 생각들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고인이 잘 살았던 모습에 좀더 초점을 맞춘다”고 설명한다.

    또 한가지 한국과 상당히 다른 미국의 장례식 장면 중 하나는 고인과의 대면(viewing)이다. 고인과 마지막 인사를 나눈다는 의미의 절차이며, 시신이 손상되지 않은 경우 관을 열어 놓는다. “가톨릭은 대개 관을 열어놓고 기독교는 보통 관을 열지 않는다”고 이보영 목사는 설명한다. 고인의 시신을 대면할 때는 잠깐 묵념을 하거나 기도를 할 수도 있고, 특히 아이들이 있다면 이 절차의 의미를 사전에 설명해서 아이들이 겁먹지 않도록 도와야 한다. 그러나 뷰잉이 반드시 의무적인 것은 아니다. 조문을 하는 경우는 대략 15분 정도로 길지 않게 머무는 것을 제안하기도 하는데, 만약 기도나 예식이 진행되고 있을 때는 중간에 떠나지 않도록 한다.

    고인을 모시고 장례를 치르는 것을 장례식(funeral)이라고 하고, 장례식에 참가해야 하는 사람들을 오래 기다려야 하는 등의 사정으로 화장과 매장 이후에 장례를 치르는 것은 추모식(memorial)이라고 부르는데 이 두 가지 예식에 참여할 때도 조문시의 예절을 따르면 된다. 장례식이나 추모식에서는 유가족과 가까운 지인들이 고인을 기리는 추도연설(eulogy)을 낭독하는 점도 한국과 다른 모습니다. 장례식 다음에 매장이 바로 이어진다면 매장식에도 함께 참석하는 것이 좋다. 추모식은 고인이 돌아가시고 난 뒤 몇 주 또는 몇 달 뒤에도 열릴 수 있다.

    누군가가 상을 당했다는 소식을 들으면 어떻게 도움을 주고 위로해야 할지 모를 수 있고, 문화적인 차이와 더불어 방해가 될 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망설일 수 있으나 큰 상실감에 사로잡힌 유가족들이 혼자가 아님을 느끼게 해주는 것은 한국과 미국의 공통된 정서이니 좀 더 적극적으로 위로를 나눌 필요가 있다. 더불어 유가족과 고인이 미국이 아닌 다른 문화권이라면 그들의 장례문화를 알아보고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