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쓰면서 그 동안 많은 사람들이 도마 위에 올랐다. 좋은 기사로 칭찬을 받았던 사람들이 아니라 고발성 기사의 주인공으로 거론됐던 인물들 얘기다. 기사가 나간 뒤 이 주인공들의 반응은 크게 두 가지였다. 첫 번째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새롭게 살겠다면서, 좋은 일하면 인터뷰 기사를 그때 다시 써달라는 것이었다. 두번째 경우는 자신의 행동을 반성하지 않고, 앙심을 품고 온갖 거짓말과 욕설에, 열심히 주변 사람들을 자기 편으로 포섭하고 다니는 부류였다. 처음에는‘이 작은 동네에서 누구를 기사화 한다’는 것은 동네 정서에 맞지 않다는 얘기도 들었다. 하지만 심각한 잘못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너무도 너그럽게 용서하는 주인공들의 주변인들, 그리고 그 사람들이 몰아가는 용서의 분위기는, 이 곳 덴버를 무슨 짓을 해도 상관없는, 대충대충 넘어가는 동네로 만들어버렸다. 또, 이를 수수방관하고 있는 언론에게 던지는 독자들의 시선은 ‘언론은 … 개념 없는 솜방망이’라는 이미지가 되었다.

솔직히 말하자면 필자도 모른 척하고 넘어가고 싶었던 일들이 많았다. 일단 피하고, 논란거리가 되지 않는 기사만 적으면 된다. 한 동네에 살면서 안면 있는 사람들을 신문 지면에 올려 공개적으로 망신을 주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콜로라도 동포들의 뇌리에 박혀있는 언론은‘개념없다’라는 이미지를 굳히고 싶지 않아 펜을 들었었다. 많은 사람들이 우물쭈물 ‘Yes’라고 대답하면서 넘어가려 할 때, ‘No’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용기를 가지는 것이 우리가 할 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공정한 잣대를 적용해 기사들을 작성했었다.

하지만 부작용도 많았다. 얼마 전 한 업체의 부정에 대한 기사가 대서특필된 뒤 당사자는 포커스를 고소하겠다면서 주변 사람을 중심으로 으름장을 놓았다.  큰 소리를 쳐 가면서“잘 알지도 못하면서 기사를 썼다, 기사가 잘못됐다, 가만 두지 않겠다” 는 등의 허풍이 신문사까지 입에서 입으로 전해졌다. 그 뒤 잠깐 만난 적이 있는데, 그때까지도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지 않고 신문에 사용된 단어 하나를 가지고 꼬투리를 잡고 있었다. 차라리 범 동포적 차원에서 잘못된 점을 과감히 인정하고, 반성하는 모습으로 사과문을 발표하고 새로운 출발을 기약하는 모습을 보이는 편이 나을 뻔했다.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입었다는 확실한 증거가 있는 상황에서 큰 소리 치는 것은 스스로 부끄러워 자신을 포장하는 것으로 밖에 보이질 않는다. 왜냐하면 신문사에 직접 고소장을 보낸 것도 아니고, 기사 정정을 당당히 요청한 적도 없기 때문이다.

또 한 번은, 덴버의 한 교회를 통해 필자의 종교관을 피력한 일이 있었다. 기사가 나간 다음 날에는 신문사에 수 통의 전화가 걸려와 감사와 감동의 인사를 받은 적이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부작용도 있었다. 그 교회는 광고를 내야 할 때가 있으면 으레 포커스를 피했다. 그 기사의 관계자라고 스스로 생각한 이들 또한 일부러 포커스를 피해 광고를 더 하려는 모습이 역력하니, 이 또한 쓴 소리한 것에 대한 부작용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과오를 인정하지 않는 모습 또한 올바른 교회의 모습이라 할 수 없다.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의 모임인 교회에서 사랑과 용서, 포용은 교회에서 가르쳐야 할, 아니 실천해야 할 덕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배제와 배척의 모습이 언뜻언뜻 비치는 것이 마음에 걸린다.         

이 곳 단체들에 대해 지적할 때도 반응이 남달랐다. 막은 내렸지만, 지난 10여 년 동안 누구도 승자가 될 수 없었던 한인회와 노인회간의 그 분쟁, 새로운 한인회의 탄생, 한인회간의 경쟁, 노인회간의 분열, 이름뿐인 단체들의 쓸데없는 명예욕 열전 등을 동포의 한 사람으로서 바라만 볼 수 없어 적었던 기사들이었다. 이에 대한 반응도 만만치 않았다. 신문사에 전화를 걸어 고래고래 지르는 고성 뒤에는 삿대질 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내가 어떤 사람인데 나를 몰라보느냐, 나 아는 사람 많다, 뒷조사 하겠다, 신문사 문닫게 하겠다, 밤 길 조심해라, 너 몇 살이냐, 변호사 준비해라 등의 동네 시장 판에서 오가는 막장 대화들이 난무한 적이 한 두 번이 아니다. 자기들의 심기를 불편하게 한 대가이다. 이 또한 보자면 부작용으로 볼 수도 있다.     

이런 부작용들 때문에 신문 만드는 일을 그만 하고 싶었을 때가 있었다. 하지만 격려 차원에서 매주 전화를 걸어오는 열혈 독자, 팬 차원에서 주인 얼굴도 모르는 외국식당 광고를 직접 받아 준 독자, 행사 때마다 악수하고 싶다며 멀리서도 알아보고 뛰어오는 이런 독자들 때문에 위의 부작용들은 부작용으로 작용하지 못했다. 지난 4년 동안 억울한 심경을 토로하기 위해서 신문사를 찾은 동포들이 계속 늘어나고, 때로는 개인적인 하소연을 하기 위해 신문사 문을 두드리는 것을 보면, 바른말 하는 신문으로 자리를 잡은 것도 같다. 그래서 이런 고발성 기사에 대해 발끈하는 부작용을 더 이상 부작용으로 생각하지 않을 작정이다. 이를 새롭게 도전하고, 바로 잡는 원동력으로 사용할 참이다. 


     <편집국장 김현주>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