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다보면 혼자의 힘으로 할 수 없는 한계에 부딪힌다. 하지만 이를 한계라고 낙담할 필요는 없다. 그래서 존재하는 단어가 ‘협력’이라는 것이 아니겠는가. 힘을 모아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것이 바로 협력이다.

  이번 주 서울에서는 주요 20개국 정상들이 참석하는 정상회의가 열렸다. 이 행사를 보란 듯이 개최하기 위해 정부와 국민은 한 뜻으로 준비를 해왔다. 식구끼리는 못 볼꼴 보여줘도 남한테까지 보여줄 필요가 있겠느냐는 생각이 우선된 것이었다.  많은 국가들이 지난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과 관련해 벌어졌던 대규모 폭력시위가 다시 발생할 수도 있다는 의심을 풀지 못했다. 해외 동포들이 회의가 무사히 마치기를 바란 이유는 G20회의가 한국의 이런 이미지를 쇄신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 민주노총은 또다시 찬물을 끼얹었다. 때와 장소를 가리지 못하는 모습에 한숨이 나온다. 민주노총이 서울광장에서 2만여 명이 참가한 전국노동자대회를 강행한 날은 경찰의 비상령 발령 직후의 일이었다. 인근 차도를 점거하고 시위를 벌여 경찰이 15개월 만에 최루액까지 발사했다. 정상회의를 위해 입국하는 회의 관계자들이 속속 들어올 시기에 발맞춘 일이다. 국격 상승의 절호의 기회인 서울 정상회의를 불과 4일 앞두고 ‘STOP G20’ 피켓을 흔들어대는 대규모 도심 집회로 불안감을 조장한 것부터 반(反)대한민국 행태가 아닐 수 없다. 가뜩이나 글로벌 테러 위험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 정상들이 대거 참가하는 국제행사를 난장판으로 만들겠다는 식이다. 더 이상 국제적 망신으로 이어지지 않아야 한다. 폭력시위가 외국인 투자와 국가 경쟁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온 만큼 G20 회의를 계기로 평화적인 시위문화를 정착시켜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 그러기 위해서는 엄정한 법 적용과 집행, 시민 단체들의 정당한 의지, 국민들의 해안이 어우러져 협력 되어야 한다.  

  지난 주 한국의 삼호 드림호가 소말리아 해적들에 피랍된 지 217일 만에 풀려났다. 950만 달러에 달하는 거액의 몸값을 지불하고 나서다. 최장의 피랍 기간에 역대 최고의 몸값이다. 귀중한 생명과 재산을 구했으니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언제까지 소말리아 해적들에게 끌려 다닐지 답답하기 그지없다. 한국의 선박이 소말리아 해적에 납치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6년 동원호 이후 지난달 4일 납치돼 아직도 풀려나지 못하고 있는 대게잡이 통발어선 금미305호까지 무려 일곱 차례에 달한다. 연간 소말리아 해역을 통행하는 한국 상선은 600여척이 넘는다. 이 한국 선박의 보호를 위해 해군 청해부대가 파견돼 활동하고 있지만 피해 발생을 완전히 막지는 못하고 있다. 해역이 워낙 넓고 일단 납치되면 선원들의 안전 때문에 적극적인 공격을 하기가 힘들어 해적들의 소탕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강경 대응으로 해적을 진압하고 피랍 선박과 선원을 구출한 사례가 없는 것은 아니다. 프랑스는 인질 구출 후 역습을 가해 해적을 사로잡았고, 미국도 해적들에 억류돼 있던 선장을 교전 끝에 구해내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의 행동은 갈수록 대담해져 고가의 무기와 첨단장비로 무장한 채 심지어 군함까지 공격해 버는 돈이 연 1억 달러에 이른다고 하니 가히 해적산업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소말리아의 국가 재건과 치안력 확보를 돕는 것이 궁극적인 해결책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한국 힘만으로는 역부족이다. 유엔이나 나토 등 국제 기구와 공조해 이러한 범죄행위를 근절할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세계 6대 해운강국으로서, 이제는 해적 퇴치를 위한 국제적 협력이 절실할 때다. 

  콜로라도에도 힘을 모아 이뤄내야 할 일들이 여럿 있다. 그 중 최근 몇년 사이에 대두된 사안은 영사관 유치에 관한 일이다. 올해 초 순회영사 업무를 한다는 소식을 듣고 한꺼번에 5백여 명이 넘는 한인들이 몰려 출장소가 북새통을 이루면서, 동포사회에서는‘영사관’에 대한 필요성이 가시화됐다. 그간 때때로 한인 단체가 영사관 유치를 위해 의견을 피력한 적이 있었지만 한국정부의 예산 문제와 지역의 특수성 등으로 인해 관철되지 못했다. 이런 와중에 영사관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대두 시킨 계기는‘참정권’에 있다. 한국 정부가 재외동포의 참정권을 인정하면서 영주권자에게 한국의 대통령, 국회의원을 선출할 권리를 주게 된 것이다. 하지만 영사관이 없는 지역은 사실상 이러한 권리를 행사하기가 힘들다. 선거인 등록을 위해서, 정작 투표를 할 때에도 비행기를 타야 하니 여간 번잡한 일이 아니다. 지난 주 이정관 총영사 또한 덴버를 방문해 영사관 유치를 위해서 동포들이 한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덴버는 미국 교통의 중심지이고, 영사관이 유치될 수 있을 정도의 한인 인구가 준비 되었다는 것이다.

   이제 영사관 유치를 위해 직접적으로 의사를 표명해야 할 때다. 이를 위한 첫 단계로, 포커스 신문사에서는‘영사관 유치를 원한다’는 내용으로 동포들의 서명을 받기로 했다. 이는 포커스 신문사가 전적으로 나선다는 뜻은 결코 아니다. 필두에 설 한인 단체가 정해지면 이 서류들은 당연히 건네줄 생각이다. 총영사관 유치는 당장 이루어 질 수 없는 우리 커뮤니티의 숙원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우리 세대에 발판을 만들고, 자녀 세대에 이루어 질 수 있다면 이 또한 해볼 만할 일이 아닐까.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