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텍쥐페리는 『어린 왕자』에서 어른들이 유달리 숫자를 좋아한다고 꼬집는다. ‘창턱에 제라늄 화분, 지붕엔 비둘기가 사는 분홍빛 벽돌집’을 아이가 말하면 어른들은 그것이 어떤 집인지 상상조차 못 한다. 대신 ‘십만 프랑짜리 집’이라 고쳐 말하면 ‘참 좋은 집이겠구나’라고 반응한다.

 제대로 된 성지식과 성교육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는 성생활에 대해서도 전혀 과학적이지 않은 숫자에 집착하는 이가 많다. 그런 엉뚱한 숫자 놀음에 휘말려 자책하거나 상대를 비난하는 남녀를 보면 필자는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아내가 달력에 날짜까지 체크하니 원….”
 중년 남성 A씨는 성관계 횟수를 꼬박꼬박 기록하는 아내에게 불만이 대단하다. 동창모임에 다녀온 아내가 “남들은 이렇지 않다더라” “외도하는 것 아니냐”며 공격하는 바람에 A씨는 심한 상처를 받았다. 심지어‘40대는 일주일에 몇 번’이란 식의, 일부 무책임한 성 담론자들의 숫자 놀음까지 아내가 들이대는 통에 A씨는 ‘의무방어전’을 치르는 신세가 됐다. 물론 몇 달에 한 번이나 일 년에 몇 손가락에 꼽힐 정도의 ‘섹스리스’라면 근본적인 문제가 있고 치료를 받아야 한다. 하지만 ‘일주일에 몇 번’이 부부 사이를 평가하는 행복지수가 될 수는 없다.

“오늘은 오래 했으니 만족하지?”
 결혼 3년차 여성 B씨는 늘 성행위 시간에만 집착하는 남편이 원망스럽다. 무조건 오래한다고 아내가 좋아하는 것이 아닌데, 조루가 있는 남편은 시간을 늘리기 위해 별의별 시술을 다 받았다. 사실 돈만 낭비했을 뿐 효과는 실망스러웠는데도 B씨의 남편은 여전히 미련을 버리지 못한다.

 B씨의 남편 같은 조루 남성들은 ‘삽입 후 30분~1시간’이란 주위의 허세에 쉽게 좌절한다. 하지만 많은 연구에서 정상적인 남성이 삽입 후 사정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균 5~10분이었다. 삽입해 밤을 지샜다는 얘기는 무협지에나 나올 소리다.

필자는 ‘시간 콤플렉스’에 빠진 조루 환자들을 치료할 때 일부러 시간을 ‘오버’해서 연장시켜 주기도 한다. 과연 무조건 오래 하는 게 능사인지 사정이 안 될 정도로 시간을 대폭 늘려주고 경험해 보도록 하면 환자들의 생각은 바뀐다. 일반적으로 삽입 후 15분 이상 성행위가 지속되면 남성도 여성도 지치고 힘들어한다.

 이런 체험을 한 조루 환자들은 너무 긴 삽입행위 시간보다는 정상인의 평균치를 선호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 삽입 후 30분 이상씩 한다는 과장에 더 이상 속지 않게 되고, 노력해도 사정하지 못하는 지루 환자들의 고통을 이해하게 된다.

 우리의 성문화를 보면 사람들은 유달리 횟수·시간·크기 등 숫자에 강박관념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의학교과서에 나오기는커녕 학술적으로 제대로 인정받은 적이 없거나 외국에서는 주된 치료법으로 잘 활용되지 않는 시술들이 ‘효과 만점에 부작용 제로’라는 과장 광고로 사람들을 쉽게 유혹한다.

 성기능 치료를 받을 계획이라면 그것이 의학 교과서에 주된 치료법으로 권고되고 있는지부터 반드시 확인하기 바란다. 성기능에 문제가 있다면 그 원인을 정석대로 교정해야지 무턱대고 ‘오래, 자주, 세게, 크게’ 숫자만 바꾼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