杯盤狼藉 배반낭자


杯 잔 배 / 盤 소반 반 / 狼 이리 낭(랑) / 藉 깔 자

풀이 : 술잔과 접시가 마치 이리에게 깔렸던 풀처럼 어지럽게 흩어져 있다는 뜻으로, ①술을 마시고 한창 노는 모양(模樣)②술자리가 파할 무렵 또는 파한 뒤 술잔과 접시가 어지럽게 흩어져 있는 모양(模樣)을 이르는 말

고사유래 : 전국 시대 초엽, 제(齊)나라 위왕(威王) 때의 일이다. 초(楚)나라의 침략을 받은 위왕은 언변이 좋은 순우곤을 조(趙)나라에 보내어 원군을 청했다. 이윽고 순우곤이 10만의 원군을 이끌고 돌아오자 초나라 군사는 밤의 어둠을 타서 철수하고 말았다. 전화(戰禍)를 모면한 위왕은 크게 기뻐했다. 이어 주연을 베풀고 순우곤을 치하하며 환담했다. “그대는 얼마나 마시면 취하는고? “신(臣)은 한 되<升>를 마셔도 취하옵고 한 말<斗>을 마셔도 취하나이다.” “허, 한 되를 마셔도 취하는 사람이 어찌 한 말을 마실 수 있단 말인고?” “예, 경우에 따라 주량이 달라진다는 뜻이옵니다. 만약 고관대작(高官大爵) 들이 지켜보는 자리에서 마신다면 두려워서 한 되도 못 마시고 취할 것이오며, 또한 근엄한 친척 어른들을 모시고 마신다면 자주 일어서서 술잔을 올려야 하므로 두 되도 못 마시고 취할 것이옵니다. 옛 벗을 만나 회포를 풀면서 마신다면 그땐 대여섯 되쯤 마실 수 있을 것 이옵니다. 전하, 술이 극에 달하면 어지러워지고 ‘즐거움이 극에 달하면 슬픈 일이 생긴다’<樂極湟生>고 하였사오니 깊이 통촉하시오소서.” 위왕은 그후 술을 마실 때에는 반드시 순우곤을 옆에 앉혀 놓고 마셨다고 한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