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제국의 입장에서 볼 때 고려는 경이적인 나라였다. 땅의 크기로 보나 군대의 규모로 보나 고려는 몽골의 상대가 아니었다. 그런데도 고려는 몽골과의 40년 전쟁을 무승부로 끝냈다.
그래서 몽골은 화친조약을 맺은 뒤에도 고려를 존중하지 않을 수 없었다. 몽골이 공주들을 고려에 시집보낸 것은 그런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만약 고려를 시시하게 봤다면, 공주들을 시집보낼 필요도 없이 무력으로 고려를 제압하려 했을 것이다. 공주들을 보낸 것은 일종의 회유책이었다.
 이처럼 고려-몽골 결혼동맹의 기원을 살펴보면, 이것은 고려보다는 몽골에게 더 치욕스러운 일이었다. 공주들을 시집보내면서까지 고려와의 동맹을 유지하려 했기 때문이다. 반대로 고려의 입장에서는 이 결혼동맹이 결코 수치스러운 일만은 아니었다.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서 고려인들은 이 결혼동맹을 부끄러워하게 되었다. 왜 그랬을까?
고려와 몽골이 전쟁을 할 때는 고려가 꿀릴 게 없었다. 그러나 평화적인 외교관계를 하면서부터 양국의 국력 차이가 확연해졌다. 가난한 집 아이가 부잣집 아이와 주먹질을 할 때는 별로 꿀릴 것이 없다가, 막상 친해져서 서로의 집을 왕래할 때는 왠지 주눅이 들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고려와 몽골의 관계에서도 그런 양상이 나타났다. 고려왕이 주눅 들고 몽골 공주가 안하무인이 되는 경향이 나타난 것이다. 그런 경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가 있다. 충렬왕과 제국대장공주(이하 '제국공주')의 사례다.  그의 이름은 홀도로게리미실이다. <고려사> 제국대장공주 열전에 따르면, 건강문제가 생긴 충렬왕은 개경성 바깥 서쪽에 있는 천효사란 사찰로 거처를 옮기려 했다. 이때 충렬왕 부부가 천효사로 이동하면서 생긴 에피소드가 있다.
충렬왕의 행렬이 앞장섰고, 제국공주의 행렬은 거리를 두고 뒤따라갔다. 왕은 천효사가 있는 산의 아래까지 도착했다. 그런데 뒤따라오던 공주의 행렬이 갑작스레 멈춰서는 것이었다. 공주가 자기 쪽 수행원이 적다면서 개경으로 돌아가겠다고 고집을 부렸기 때문이다.  제국공주의 말을 전해들은 충렬왕은 할 수 없이 발걸음을 되돌렸다. 공주는 그 자리에 그대로 있었다. 공주가 있는 곳까지 왕이 돌아왔을 때였다. 갑자기 공주가 몽둥이를 들고 왕을 두들겨 패는 것이었다. 수행원을 적게 배정한 것에 대한 분풀이였다.  천효사에 들어간 직후에 충렬왕은 다시 한 번 매질을 당했다. 절 입구에서 자기를 기다렸다가 함께 들어가지 않고 먼저 들어갔다고 하여 충렬왕에게 욕설을 퍼붓고 몽둥이를 다시 집어 들었던 것이다. 이 사례는 몽골 공주들이 고려왕을 얼마나 업신여겼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이다.  이렇듯 고려왕과 몽골 공주의 결혼생활은 일반적으로 순탄하지 않았다. 결혼이 처음부터 정략적으로 이루어진 데에다가 몽골 공주들이 고려왕을 무시했기 때문에 이들의 부부생활이 평화롭기란 쉽지 않았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노국공주와 공민왕의 러브스토리는 상당히 특이하다. <고려사> 노국대장공주 열전에 따르면, 공민왕은 공주가 죽은 뒤 그의 초상화를 직접 그려두고 몇 년간 추모했다. 물론 폐인이 될 정도까지는 아니었지만, 공민왕은 공주에 대해 깊은 애정을 표현했다.
노국공주는 다른 몽골 공주들과 달리 남편과 고려를 존중하고 반몽골(반원나라) 정책에도 협조적 태도를 취했던 것으로 보인다. 만약 그가 공민왕의 반몽골 정책을 방해했다면, 공민왕이 그처럼 자신감 있고 열정적으로 몽골과 싸울 수 없었을 것이다. 또 그랬다면, 그가 죽은 뒤에 공민왕이 그처럼 오랫동안 추모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노국공주의 남편사랑, 고려사랑은 공민왕이 세계 최강 몽골을 고려 땅에서 몰아낸 원동력 중 하나였다. 다른 몽골 공주들의 경우는 그렇지 않았지만, 노국공주의 경우만큼은 '출가외인'이란 말이 잘 부합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