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사회에서나 절대 비난할 수 없는, 비난을 해서도 안되는, 감히 침범할 수 없는 성역과 같은 사안들이 존재한다. 한국사회에서는 5.18 항쟁과 세월호, 그리고 위안부 할머니 문제 등이 그러하다. 때문에 이와 관련된 피해자들을 함부로 비난했다간 반역죄에 버금가는 눈초리를 각오해야 한다. 그런데, 최근 이 비난이 불가했던 성역이 무너졌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정의연 전신)가 바로 그 곳이다. 정의연은 오롯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위해 존재해온 단체이다. 이렇게 훌륭한 의도를 지닌 단체임에도 불구하고, 당사자인 위안부 할머니들이 앞장서서 비난을 하고 있다.  정의연에 대한 논란은 지난 7일 위안부 단체에 이용만 당했다고 주장한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이 발단이 되었다. 이어 성금 사용 내역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었고, 위안부 피해자를 위해 마련한 쉼터의 부적절한 사용 용도와 석연치 않은 매입·매각 과정, 그 외에 기부금 사유화 등 수 많은 의혹들이 고구마 줄기처럼 줄줄이 딸려 나오고 있다.

     정대협과 윤미향 당시 이사장(더불어민주당 당선인)는 2013년 현대중공업이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지정 기부한 10억원 중 7억5천만원으로 경기도 안성에 있는 건물을 쉼터로 매입했다. 하지만 이 곳은 실제로 지난 7년간 위안부 할머니들이 거주한 적이 없다. 대신 어느 단체가 수련회를 하거나 통합진보당 후신인 민중당 대표가 참석한 행사가 열렸다. 가족 단위로 놀러 와 바비큐 파티를 즐긴 정황도 포착됐다. 인터넷에는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해 지어진 곳인데 평소 펜션으로 쓰인다나 봐요. 시설이 엄청 좋다'라는 사용 후기가 올라와 있다. 쉼터를 구매한 경위를 보면 더 수긍이 가지 않는다. 정대협은 이 집을 7억5천만원에 매입했다. 당시 실거래가의 3배가 넘는다. 이미 서울 명성교회의 지원을 받아 마포구에 2층짜리 위안부 쉼터를 마련해 놓았던 상황에서, 이런 비정상적 거래를 한 이유가 뭘까. 그것도 전혀 모르는 사람한테 매입한 것도 아니고, 같은 정당의 이규민 의원의 소개로 매입했고,  집을 판 사람도 이 의원의 지인이었다. 지인의 소개로 이뤄진 거래인데 오히려 시세보다 훨씬 높게 팔았다. 게다가 새로 지은 집을 사놓고 인테리어 비용으로 1억원을 썼다고 했다. 그러다 정의연은 지난달 돌연 쉼터를 4억2천만원에 매각해버렸다. 결국 3억 비싸게 샀고, 팔 때도 3억을 손해봤다.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든 일이다.

      의혹은 끝이 없다. 쉼터의 관리인은 윤 당선인의 부친이었다. 쉼터에 상주하면서 지난 6년간 받아간 돈이 7천5백만원에 이른다. 또, 윤 당선인은 수원에서 인터넷 언론사를 운영하고 있는 남편에게 정대협, 정의연 소식지 편집 명목으로 제작비를 챙겨주었다. 마포 소재 정의연 소식지를 왜 수원에 있는 인터넷 신문사에 맡겼는지 이해가 안가는 대목이기도 하다. 윤 당선인은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한 기부금도 수시로 개인 명의 계좌로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기부금을 자기 주머닛돈처럼 취급한 것이다. 이 모든 의혹은 국민 기부금으로 공익 단체를 운영한다면서 단체의 대표가 가족의 수익 사업처럼 활용한 것으로 귀결되어진다. 딸의 유학비도 문제다. 정의연의 공금중 일부가 윤 당선인의 딸 유학비용으로 사용한 것이 아니냐는 의심이다. 윤 당선인은 언론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딸은 전액 장학금을 주는 대학교를 선택해서 유학을 갔다고 했다. 하지만 UCLA  음대는 유학생에게 일체 장학금을 지급하지 않을 뿐더러 오히려 유학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경제능력을 검증해야 하는 사실이 타언론사를 통해 보도되자, 윤 당선인은 남편이 받은 보상금으로 딸을 유학보냈다는 말로 번복했다. 

     위안부 할머니를 지원하는 목적으로 설립된 정의연이 정부와 지자체에서 2016년부터 올해까지 받은 기부금은 49억원 규모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이후에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대폭 증가되었다. 이렇게 이곳저곳에서 모은 기부금 중 할머니들에게 돌아간 돈은 고작 2% 안팎이다. 정의연은 또 지난해 김복동 할머니 장례식 때 시민들로부터 거둬들인 조의금으로 사드 반대 대책위, 탈북 종업원 등에게 2백만원씩을 나눠주면서, 정작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에게는 한 푼도 주지 않았다. 정대협과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갈등은 오래전에도 있었다. 아시아평화국민기금에서 할머니들에게 5백만엔씩 지원했을 때 정대협은 "일본 돈을 받으면 자발적 공창이 되는 것"이라며 반대했다.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에 따라 생존 할머니들에게 1억원씩 지원했을 때도, 정대협은 할머니들에게 돈을 받지 않도록 권유했다. 이 때문에 당시 생존 할머니 47명 중 35명만 돈을 받았다. 정대협은 별도로 대대적인 모금 운동을 벌여 수령하지 않은 할머니들 중 8명에게만 1억원씩 지원했다. 정의연 기부금 사용이 논란을 빚는 건 이와 무관치 않다. 일본에서 주는 돈을 받지 못하게 하면서 자신들이 국민들에게 기부받은 돈조차 할머니들에게 제대로 쓰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위안부 할머니는 기부금 사용과 관련해 '위안부 두 번 울린 정대협, 문 닫아라'라는 제목의 성명을 낸 적이 있다. 할머니들을 위한답시고 전국에서 성금을 거둬들였지만, 할머니들은 그 성금으로 수혜를 받은 적이 한 번도 없다고 했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정의연에 대한 비판을‘친일 세력의 공격’ 으로 치부한다면, 되려 궤변이다.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뒤에서 잇속을 챙겨도 괜찮다면, 이는 시민단체 전체를 모욕하는 것이다.  지금 정의연을 둘러싼 문제들은 단순 회계 부실이나 실수 수준을 넘어섰다. 기부금을 자기들 마음대로 펑펑 썼다. 가장 큰 문제는 할머니들이 지난 30년 동안 정치적으로 이용당했다고 생각하는데 있다. 국고보조금은 정부와 지자체가 “위안부 피해자들을 위해 쓰라”며 정의연에 준 돈이다. 위안부 할머니들은 우리 시대 가장 아픈 손가락이다. 그들이 70년 전에는 일본에 의해 짓밟혔고, 지금은 조국 때문에 눈물 짓고 있다. 이들의 생이 얼마남지 않았다. 한국 정부는 하루속히 위안부 운동을 빙자한 이들의 비즈니스를 명명백백 수사해야 한다. 그것만이 생존해 계시는 위안부 할머니들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어루만질 수 있는 길이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