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테러 공습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

    아프가니스탄 20년 전쟁을 끝낸 미국이 드론을 이용한 아프간 내 대테러 공습을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미군 철수 과정에서 테러를 가한 것으로 지목된 이슬람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의 아프간 지부 'IS 호라산'(IS-K)에 대해 조 바이든 대통령이 철저한 보복을 다짐했고, 아프간 내 미군 부재로 응징 수단은 무인 공격기가 될 것이란 얘기다. IS-K에 대한 드론 보복 타격은 철군 과정에서 이미 두 차례 시행됐다. 미군은 철군 및 카불 공항 대피 작전 막바지인 지난달 26일 공항 입구 자폭테러로 미군 13명 등 170명의 희생자가 나오자 즉각 인근 페르시아만 미군기지에서 'MQ-9 리퍼' 무인 공격기를 띄워 보복에 나섰다. 당시 미군은 폭탄이 아닌 6개의 칼날이 장착된 이른바 '닌자미사일'로 IS-K 고위급 2명을 제거했다. 이틀 뒤엔 폭탄을 실은 테러 세력의 차량을 드론으로 공습했다. 이 작전은 미군이 희생된 직후 바이든 대통령이 보복 공격의 전권을 군 지휘부에 하달하면서 이뤄졌다. 앞으로도 이처럼 드론을 활용한 미국이 보복 공격이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대통령은 전날 철군 완료에 따른 대국민 연설에서 IS-K를 겨냥해 "아직 끝난 게 아니다"라며 "강력하고 목표물을 겨냥한 정확한 전략"을 맹세했다. 비록 아프간 철군으로 전쟁 종료를 공식화했지만, 미군에 희생을 가져다준 아프간 내 테러 세력과의 '또 다른 전쟁'을 표명한 셈이다. 하지만 미군이 더는 아프간에 주둔하지 않아 아프간 내 테러 세력에 대응하기 위한 선택지는 드론 타격 등 한정적이다. 공습을 위한 정보 습득 역시 한계를 띨 수밖에 없다. 제한된 정보를 동반한 드론 공습을 주 보복 수단으로 삼을 경우 민간인 사상자를 낼 가능성은 커진다. 실제로 IS-K에 대한 미군의 두 번째 공습으로 어린이 7명 등 10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아프간 내 미군 부재는 또한 무인 공격기가 아프간 외부에서 출격해야 하고 이는 곧 더 많은 유지비용이 든다는 것을 뜻한다. 미국의 공격용 드론 정책은 여러 행정부를 거치며 수 차례 바뀌었다.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한테서 테러와의 전쟁을 물려받은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드론 공습 수행 방식에 대한 기준을 강화했지만, 대테러 임무를 수행하는 미군의 위험을 감안해 전장이 아닌 곳에서는 드론 공습을 선호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관련 규정을 대폭 완화해 현장 지휘관들에게 더 많은 재량을 부여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재래식 전쟁 지역 밖의 드론 공습에 대한 재검토에 착수해 백악관 허가를 받게 하는 잠정 제한을 가했지만 구체안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