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영국·일본 등보다 낮아 … 교육 강화·예산 증액

    한국의 일반인 심폐소생술(CPR) 시행률이 과거보다 높아졌지만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국보다는 한참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민주당) 의원이 질병관리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2016년 16.8%, 2017년 21.0%, 2018년 23.5%, 2019년 24.7%, 2020년 26.4%로 증가했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병원 도착 전에 '근무 중인 구급대원 및 의료인'을 제외한 일반인에 의해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비율을 뜻한다. 이런 비율은 영국 70.0%, 미국 40.2%(이상 2020년) 등 주요국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일본의 경우 2013~2015년 50.2%로 2020년 기준 한국의 2배에 가까웠다.  급성심정지 환자의 생존퇴원율은 한국이 7.5%로, 미국 9.0%, 영국 8.3%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정부는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교육을 받은 사람의 수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크게 줄었다. 2017년 66만5천명, 2018년 69만4천명, 2019년 67만3천명이었던 것이 2020년 14만8천명, 2021년 18만6천명으로 감소했다. 이런 가운데 복지부의 2023년 예산안에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비 지원 예산은 올해(18억원)보다 8.3% 감액된 16억5천만원으로 편성됐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