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침공 후 국제사회의 각종 제재 대상이 된 러시아 경제가 벼랑 끝 위기에 몰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8일(현지시간) 러시아 경제의 장기 침체 가능성이 커졌다고 보도했다. 현재 러시아 경제는 총체적인 난국에 빠진 상태다. 루블화의 가치는 지난해 11월 이후 20%나 하락했고, 지난해 가을 단행된 30만 명 규모의 징병 탓에 러시아 기업의 절반 정도가 노동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이 같은 경제의 불확실성 때문에 러시아 기업들은 신규 투자를 중단하고 있다. 소비도 급감하고 있다. 지난해 러시아의 소매판매는 6.7% 감소했다. 2015년 이후 최악의 수치다. 지난달 러시아의 신차 판매는 전년 대비 62%나 줄었다. 러시아 경제 위기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는 원유와 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이 하락이 꼽힌다. 러시아 정부는 당초 유럽 각국이 러시아 에너지에 대한 의존을 포기할 수 없을 것이라고 판단했고, 실제로 전쟁 초반에는 고유가 덕을 봤다. 그러나 유럽은 오히려 러시아 에너지에 대한 가격상한제도를 도입하는 등 국제사회의 러시아 제재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수출길이 막히고, 에너지 가격까지 떨어지자 러시아는 중국과 인도 등의 국가에 정상가보다 훨씬 할인된 가격으로 에너지를 팔 수밖에 없게 됐다. 러시아가 지난달 판매한 배럴당 원유가격은 49.59달러로 국제기준인 브렌트유(배럴당 80달러)의 60% 수준에 불과했다. 이 때문에 올해 1월과 2월 러시아 정부의 에너지 관련 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절반 가까이 줄었다.  동시에 재정 상황은 급속도로 악화하고 있다. 올해 첫 두 달간 러시아 정부가 수입보다 과다 지출한 액수는 340억 달러(약 44조2천억 원)에 달한다. 당장은 1천470억 달러(약 191조 원)에 달하는 국부펀드의 힘을 빌려 지출을 이어 나갈 수 있다고 하더라도 불안감은 여전하다. 러시아 국부펀드는 우크라이나 전쟁 후 280억 달러(약 36조4천억 원)나 감소한 상태다. 일각에선 지난해 러시아 경제가 국제사회의 각종 제재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2.1% 역성장하는데 그쳤다는 점에서 선방했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그러나 이는 러시아 정부의 각종 전쟁 비용 지출로 인해 생산이 늘어난 것처럼 보이는 것뿐이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수출 감소와 노동시장의 공급 부족이라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상황에서 러시아 정부가 전쟁에 천문학적인 비용을 지출하면서 인플레이션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